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SAFY
- 싸피
- 코테
- 네트워크 관리사
- 인앱결제
- 싸피셜
- 신문 스크랩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카카오
-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구글
- it 뉴스
- 우테코
- Java
- KT
- IT 트렌드
- 신문스크랩
- html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IT 동향
- 리얼클래스
- 백준위
- it 이슈
- SSAFYcial
- 백준
- 코딩테스트 연습
- SSAFY 7기
- python
- Today
- Total
개발자일걸요..?
9663번 N-Queen 본문
문제링크 : www.acmicpc.net/problem/9663
9663번: N-Queen
N-Queen 문제는 크기가 N × N인 체스판 위에 퀸 N개를 서로 공격할 수 없게 놓는 문제이다. N이 주어졌을 때, 퀸을 놓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문제
N-Queen 문제는 크기가 N × N인 체스판 위에 퀸 N개를 서로 공격할 수 없게 놓는 문제이다.
N이 주어졌을 때, 퀸을 놓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15)
출력
첫째 줄에 퀸 N개를 서로 공격할 수 없게 놓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8
예제 출력 1
92
<알고리즘>
1) 한 행씩 내려가면서 각 행에 queen 놓기 => 같은 행에 2개 이상 들어갈 수 없음
2) 각 행에 놓은 queen의 위치가 앞선 queen들의 위치와 비교하여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곳이 있는지 확인
=> 대각선상에 놓여 있는지(가로 세로 길이 비교로 확인), 같은 열에 놓여있지 않은지
3) 끝 행까지 queen을 놓았다면 경우의 수 하나가 확보되었음을 저장하고 백트래킹 실시
<구현>
1) index를 증가시키면서 0 ~ N번째 행까지 함수 반복
2) 우선 queen이라는 배열(각 행 = index, queen이 놓인 위치 = value 인 배열)이용
for문을 이용하여 index행에 i번째 열에 queen을 놓기
check하는 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index의 queen이 이전 queen들의 위치와 비교하여 조건에 만족하는지 확인
2-1) 조건에 만족한다면 index를 증가시켜 다음 행에 놓을 queen의 위치 구상
2-2)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해당 index의 queen을 내려놓음(초기화 값으로 변경)
3) index == N이 되면 즉, 마지막 행까지 조건에 맞게 queen을 놓았다면 cnt 증가
return을 통해 백트래킹 실시 => index가 하나 줄어들고 2)에서 사용한 for문의 i가 증가, 2~3번 과정 반복
메모리 : 2016KB 시간 : 4352ms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queen[15] = { -1, };
int cnt = 0;
bool checking(int index) {
if (index == 0) return true;
else {
for (int i = 0; i < index; i++) {
//같은 라인일때
if (queen[i] == queen[index]) return false;
//대각선 상에 존재할 때
else if (abs(queen[index] - queen[i]) == index - i) return false;
}
}
return true;
}
void chess(int index, int N) {
if (index == N) {
++cnt;
return;
}
else {
for (int i = 0; i < N; i++) {
//i값을 채용
queen[index] = i;
//i값이 조건에 만족했다면 다음 level로 진출
if (checking(index)) chess(index + 1, N);
//i값 채용 취소
queen[index] = -1;
}
}
}
int main() {
int N = 0;
cin >> N;
chess(0, N);
cout << cnt;
return 0;
}
+) 전에 실패한 방식 => 고려할조건을 너무 복잡하게 잡았음, 체스판을 통으로 구현할 필요가 없음=구현복잡,메모리 차지
chess = [[False for i in range(15)]for j in range(15)]
count =0
def deleteC(x,y,N):
global chess
for i in range(N):
chess[x][i] = True
chess[i][y] = True
copyX = x
copyY = y
while((copyX>-1) & (copyY>-1)):
chess[copyX][copyY] = True
copyX-=1
copyY-=1
copyX = x
copyY = y
while((copyX<N) & (copyY<N)):
chess[copyX][copyY] = True
copyX+=1
copyY+=1
copyX = x
copyY = y
while ((copyX >-1) & (copyY < N)):
chess[copyX][copyY] = True
copyX -= 1
copyY += 1
copyX = x
copyY = y
while((copyX<N) & (copyY>-1)):
chess[copyX][copyY] = True
copyX+=1
copyY-=1
def check(N, nowQ):
global count
global chess
for i in range(0,N):
for j in range(0,N):
if (nowQ==N):
count+=1
chess = [[False for i in range(15)]for j in range(15)]
nowQ=0
elif(chess[i][j]==False):
chess[i][j] = True
nowQ+=1
deleteC(i,j,N)
print(chess)
#check(N, nowQ)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check(N,0)
print(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