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테스트 연습
-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카카오
- 신문스크랩
- 싸피셜
- 백준위
- IT 트렌드
- IT 동향
- it 뉴스
- 싸피
- Java
- html
- python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우테코
- 인앱결제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코테
- 구글
- it 이슈
- 리얼클래스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KT
- 신문 스크랩
- 네트워크 관리사
- SSAFY
- SSAFYcial
- SSAFY 7기
- 코딩테스트
- Today
- Total
개발자일걸요..?
예상 대진표 본문
링크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85
코딩테스트 연습 - 예상 대진표
△△ 게임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대회는 N명이 참가하고,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N명의 참가자는 각각 1부터 N번을 차례대로 배정받습니다. 그리고, 1번↔2번, 3번↔4번, ... , N-1번↔N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연습 > 2017 팁스타운 > 예상 대진표(level2))
<문제>
△△ 게임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대회는 N명이 참가하고,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N명의 참가자는 각각 1부터 N번을 차례대로 배정받습니다. 그리고, 1번↔2번, 3번↔4번, ... , N-1번↔N번의 참가자끼리 게임을 진행합니다. 각 게임에서 이긴 사람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이때,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참가자의 번호는 다시 1번부터 N/2번을 차례대로 배정받습니다. 만약 1번↔2번 끼리 겨루는 게임에서 2번이 승리했다면 다음 라운드에서 1번을 부여받고, 3번↔4번에서 겨루는 게임에서 3번이 승리했다면 다음 라운드에서 2번을 부여받게 됩니다. 게임은 최종 한 명이 남을 때까지 진행됩니다.
이때, 처음 라운드에서 A번을 가진 참가자는 경쟁자로 생각하는 B번 참가자와 몇 번째 라운드에서 만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게임 참가자 수 N, 참가자 번호 A, 경쟁자 번호 B가 함수 solution의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처음 라운드에서 A번을 가진 참가자는 경쟁자로 생각하는 B번 참가자와 몇 번째 라운드에서 만나는지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A번 참가자와 B번 참가자는 서로 붙게 되기 전까지 항상 이긴다고 가정합니다.
- N : 21 이상 220 이하인 자연수 (2의 지수 승으로 주어지므로 부전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A, B : N 이하인 자연수 (단, A ≠ B 입니다.)
<내가 작성한 코드>
def solution(N,A,B):
rangeA = 0
rangeB = 0
for i in range(1,21):
if 2**(i-1)<A and 2**i>=A:
rangeA = i;
if 2**(i-1)<B and 2**i>=B:
rangeB = i;
if rangeA!=0 and rangeB!=0:
break
if rangeA!=rangeB:
return max(rangeA, rangeB)
else:
A -= 2**(rangeA-1)
B -= 2**(rangeB-1)
return solution(N,A,B)
-> 2의 n승 차이가 날때마다 경기의 횟수는 늘어난다는 법칙을 이용
ex) A = 9, B = 31이면, 8<A<=16 이고 16<B<=32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즉 2^3<A<=2^4 이고, 2^4<B<=2^5 인데 직접 그려보면 두 사람은 5번째 경기에서 만나게 된다
=> 두 사람이 각기 다른 2의 n승과 m승에 있을 경우, n과 m 중 큰 숫자번째 경기에서 둘이 만나게 된다.
=> 둘이 범위가 같을 경우, 둘의 범위가 달라질 때까지 A,B를 동일하게 변형시켜 반복한다(재귀)
<다른 사람의 코드를 참고한 코드 1>
def solution(N,A,B):
return ((A-1)^(B-1)).bit_length()
-> A와 B를 2진수로 변환한뒤 XOR을 취한다(A와 B의 거리가 가까우면 상위 비트는 차이가 나지 않음.) A와 B는 1부터 주어지지만 우리는 0부터 고려해야함으로, A와 B에서 1씩 빼줌
ex) A = 9, B = 31이면,
bin(A-1) = 1000 bin(B-1) = 11110 => (A-1)^(B-1) = 10110 => ((A-1)^(B-1)).bit_length() = 5
+) bit_length() : 주어진 수를 2진수로 변환한뒤 그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
def bit_length(self):
s = bin(self) # binary representation: bin(-37) --> '-0b100101'
s = s.lstrip('-0b') # remove leading zeros and minus sign
return len(s) # len('100101') --> 6
<다른 사람의 코드를 참고한 코드 2>
def solution(N,A,B):
answer = 0
while A!=B:
answer+=1
A,B = (A+1)//2, (B+1)//2
return answer
-> A, B 각각의 경우로 고려. round 올라갈때마다 남는 인원수를 체크하는데 A와 B에 남는 인원이 동일할때까지 반복.
ex) A = 9, B = 31이면,
A | B | answer |
9 | 31 | 0 |
5 | 16 | 1 |
3 | 8 | 2 |
2 | 4 | 3 |
1 | 2 | 4 |
1 | 1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