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테스트 연습
- 싸피셜
- 코테
- 싸피
- Java
- 카카오
- it 이슈
- KT
- IT 동향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네트워크 관리사
- 신문스크랩
- it 뉴스
- SSAFY
-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python
- SSAFYcial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인앱결제
- 백준
- 신문 스크랩
- 구글
- IT 트렌드
- 백준위
- 리얼클래스
- 코딩테스트
- 우테코
- html
- SSAFY 7기
- 프로그래머스
- Today
- Total
개발자일걸요..?
순위 검색 본문
링크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2
코딩테스트 연습 - 순위 검색
["java backend junior pizza 150","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210","python frontend senior chicken 150","cpp backend senior pizza 260","java backend junior chicken 80","python backend senior chicken 50"] ["java and backend and junior and pizza 100","pyt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연습 > 2021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 순위 검색(level2))
<문제>
카카오는 하반기 경력 개발자 공개채용을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지원서 접수와 코딩테스트가 종료되었습니다. 이번 채용에서 지원자는 지원서 작성 시 아래와 같이 4가지 항목을 반드시 선택하도록 하였습니다.
- 코딩테스트 참여 개발언어 항목에 cpp, java, python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지원 직군 항목에 backend와 frontend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지원 경력구분 항목에 junior와 senior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선호하는 소울푸드로 chicken과 pizza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인재영입팀에 근무하고 있는 니니즈는 코딩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채용에 참여한 개발팀들에 제공하기 위해 지원자들의 지원 조건을 선택하면 해당 조건에 맞는 지원자가 몇 명인 지 쉽게 알 수 있는 도구를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팀에서 궁금해하는 문의사항은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코딩테스트에 java로 참여했으며,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ju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50점 이상 받은 지원자는 몇 명인가?
물론 이 외에도 각 개발팀의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문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코딩테스트에 python으로 참여했으며, front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코딩테스트에 cpp로 참여했으며, senior 경력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1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backend 직군을 선택했고, senior 경력이면서 코딩테스트 점수를 2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소울푸드로 chicken을 선택한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25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 코딩테스트 점수를 15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즉, 개발팀에서 궁금해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습니다.
*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X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
[문제]
지원자가 지원서에 입력한 4가지의 정보와 획득한 코딩테스트 점수를 하나의 문자열로 구성한 값의 배열 info, 개발팀이 궁금해하는 문의조건이 문자열 형태로 담긴 배열 quer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문의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info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50,000 이하입니다.
- info 배열 각 원소의 값은 지원자가 지원서에 입력한 4가지 값과 코딩테스트 점수를 합친 "개발언어 직군 경력 소울푸드 점수" 형식입니다.
- 개발언어는 cpp, java, python 중 하나입니다.
- 직군은 backend, frontend 중 하나입니다.
- 경력은 junior, senior 중 하나입니다.
- 소울푸드는 chicken, pizza 중 하나입니다.
- 점수는 코딩테스트 점수를 의미하며,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각 단어는 공백문자(스페이스 바)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query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 query의 각 문자열은 "[조건] X" 형식입니다.
- [조건]은 "개발언어 and 직군 and 경력 and 소울푸드"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 언어는 cpp, java, python, - 중 하나입니다.
- 직군은 backend, frontend, - 중 하나입니다.
- 경력은 junior, senior, - 중 하나입니다.
- 소울푸드는 chicken, pizza, - 중 하나입니다.
- '-' 표시는 해당 조건을 고려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 X는 코딩테스트 점수를 의미하며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 중 X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 지를 의미합니다.
- 각 단어는 공백문자(스페이스 바) 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예를 들면, "cpp and - and senior and pizza 500"은 "cpp로 코딩테스트를 봤으며, 경력은 senior 이면서 소울푸드로 pizza를 선택한 지원자 중 코딩테스트 점수를 500점 이상 받은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를 의미합니다.
<내가 작성한 코드>
def solution(info, query):
answer =[]
people = [information.split(" ") for information in info]
for q in query:
que = q.replace(' and ',' ').split(" ")
cnt = 0
for i in range(len(people)):
if((que[0] =='-' or que[0]==people[i][0])
and (que[1] =='-' or que[1]==people[i][1])
and (que[2] == '-' or que[2] == people[i][2])
and (que[3] == '-' or que[3] == people[i][3])
and (int(que[4])<=int(people[i][4]))):
cnt+=1
answer.append(cnt)
return answer
주어진 info와 query를 동일하게 split 하고 각각의 조건을 비교하여 전부 맞으면 cnt증가. => 정확성 100%, 효율성 0%
<다른 사람 코드를 참고하여 작성한 코드>
#방법 1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def solution(info, query):
answer = []
people = {}
for information in info:
splitInfo = information.split(" ")
for j in range(5):
com = list(combinations([0,1,2,3],j))
for c in com:
temp = splitInfo[:-1].copy()
for d in c:
temp[d] = "-"
case = "/".join(temp)
if case in people:
people[case].append(int(splitInfo[-1]))
else:
people[case] = [int(splitInfo[-1])]
for key in people.keys():
people[key].sort()
for q in query:
cnt = 0
que = q.replace(' and ',' ').split(" ")
condition = "/".join(que[:-1])
target = int(que[-1])
if condition in people:
value = people[condition]
if value:
left, right = 0, len(value)
while left < right:
middle = (left+right)//2
if value[middle]>=target:
right = middle
else:
left = middle+1
cnt = len(value)-left
answer.append(cnt)
return answer
각 조건마다 '-'가 올 경우를 미리 만들어 둔 후, query배열을 돌면서 조건이 같은 경우의 점수배열을 get -> 점수 배열을 이진탐색하여 점수 조건에 맞는 점수의 개수 count
+) 위의 people 배열 예시
ex) info = ["java backend junior pizza 150"] 이면
people ={'java/backend/junior/pizza': [150],
'-/backend/junior/pizza': [150],
'java/-/junior/pizza': [150],
'java/backend/-/pizza': [150],
'java/backend/junior/-': [150],
'-/-/junior/pizza': [150],
'-/backend/-/pizza': [150],
'-/backend/junior/-': [150],
'java/-/-/pizza': [150],
'java/-/junior/-': [150],
'java/backend/-/-': [150],
'-/-/-/pizza': [150],
'-/-/junior/-': [150],
'-/backend/-/-': [150],
'java/-/-/-': [150],
'-/-/-/-': [150]}
#방법 2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from bisect import bisect_left
def solution(info, query):
answer = []
people = {}
for i in range(len(info)):
information = info[i].split(" ")
for j in range(5):
for c in combinations(information[:-1],j):
case = ''.join(c)
if case not in people:
people[case] = [int(information[4])]
else:
people[case].append(int(information[4]))
for key in people.keys():
people[key].sort()
for q in query:
cnt = 0
que = q.replace(" and "," ").replace('-', '').split(" ")
condition = "".join(que[:-1])
if condition in people:
value = people[condition]
if value:
cnt = len(value) - bisect_left(value, int(que[-1]))
answer.append(cnt)
return answer
각 조건마다 '-'가 올 경우 해당 조건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people를 미리 만들어 둔 후, query배열을 돌면서 조건이 같은 경우의 점수배열을 get -> 점수 배열을 이진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점수 조건에 맞는 점수의 개수 count
+) 위의 people 배열 예시
ex) info = ["java backend junior pizza 150"] 이면
people = {'': [150],
'java': [150],
'backend': [150],
'junior': [150],
'pizza': [150],
'javabackend': [150],
'javajunior': [150],
'javapizza': [150],
'backendjunior': [150],
'backendpizza': [150],
'juniorpizza': [150],
'javabackendjunior': [150],
'javabackendpizza': [150],
'javajuniorpizza': [150],
'backendjuniorpizza': [150],
'javabackendjuniorpizza': [150]}
<참고한 개념>
bisect.bisect_left(a, x, lo=0, hi=len(a))
정렬된 순서를 유지하도록 a에 x를 삽입할 위치를 찾습니다. 매개 변수 lo 와 hi는 고려해야 할 리스트의 부분집합을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전체 리스트가 사용됩니다. x가 a에 이미 있으면, 삽입 위치는 기존 항목 앞(왼쪽)이 됩니다. 반환 값은 a가 이미 정렬되었다고 가정할 때 list.insert()의 첫 번째 매개 변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반환된 삽입 위치 i는 배열 a를 이분하여, 왼쪽은 all(val < x for val in a[lo:i]), 오른쪽은 all(val >= x for val in a[i:hi])이 되도록 만듭니다. (참고)
'알고리즘코딩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 아이디 추천 (0) | 2022.03.16 |
---|---|
[3차] 파일명 정렬 (0) | 2021.09.04 |
모음 사전 (0) | 2021.08.31 |
삼각 달팽이 (0) | 2021.08.26 |
예상 대진표 (0) |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