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일걸요..?

[신문스크랩] 2022.04.15 본문

IT 기사

[신문스크랩] 2022.04.15

Re_A 2022. 4. 15. 14:34
728x90
반응형

 

1. 7700억 코인 털린 '엑시 인피니티'…美 "北 해커 소행"

  최근 세계 최대 NFT 게임 엑시 인피니티가 해킹으로 6억달러 이상을 도난 당한 가운데, 미 정부가 이 사건의 배후로 북한 연계 해킹조직 '라자루스'를 지목하며 라자루스와 연계된 것으로 추정된 가상화폐 이더리움의 '지갑주소(계좌)'를 제재 리스트에 추가했다.

  한편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 체이널리시스는 가상자산 범죄의 주요 국가 중 하나로 북한을 지목했다.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49차례에 걸쳐 가상자산 해킹에 가담했으며, 빼돌린 금액도 약 4억달러(약 4782억원)로 전년 대비 40% 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08&aid=0004733269 

 

7700억 코인 털린 '엑시 인피니티'…美 "北 해커 소행"

[IT썰] '돈 버는 게임'(P2E·Play to Earn) 엑시 인피니티가 최근 해킹으로 6억 달러 이상을 도난당한 가운데, 미국 정부가 사건 배후로 북한 연계 해킹조직 '라자루스'를 지목했다. 14일(현지시각)

news.naver.com

관련 기사 스크랩 : 2022.04.13 - [IT 이슈] - [신문스크랩] 2022.04.13

 

[신문스크랩] 2022.04.13

1. OTT업계 "지속 성장 위해 사업자정의·자율등급제 필요" 한 목소리 OTT언계가 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고질적인 문제들의 해결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크게 OTT사업자의 대한

rookie-developer.tistory.com

 

 

 

 

 

2. 구현모 KT "AI 활용 분야, 국내 최고다"

    KT, 서비스로봇 사업 범위 넓힌다...배송·물류·F&B 정조준

   구현모 KT 대표는 온라인으로 개최된 'KT 디지털 서밋'에서 KT 기술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장을 리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개인고객 대상 통신서비스를 넘어 KT 스스로 디지털 전환을 이뤄내며 B2B 디지털 플랫폼까지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며 특히 AI 분야에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신수정 KT 엔터프라이즈 부문장은 KT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서비스 차별점으로 ABC(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와 통신 역량을 강조했다.

  이상호 KT AI로봇사업단장은 디지털-X 서밋에서 “맞춤형 서비스의 출발점으로 방역로봇을 출시했고, 방역로봇과 같이 새로운 분야인 배송, 물류, 케어, F&B 등의 서비스 로봇을 추가로 선보일 예정이다”고 밝혔다. 기존에 선보였던 로봇들을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그 사용 범위를 더 넓힌다는 계획인 것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31&aid=0000666278 

 

구현모 KT "AI 활용 분야, 국내 최고다"

구현모 KT 대표가 KT 인공지능(AI) 역량에 대해 '국내 최고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14일 구현모 KT 대표는 온라인으로 개최된 'KT 디지털서밋'에서 이같이 환영사하며, KT 기술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

news.naver.com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253908 

 

KT, 서비스로봇 사업 범위 넓힌다...배송·물류·F&B 정조준

KT가 배송, 물류, F&B 분야의 서비스 로봇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 이상호 KT AI로봇사업단장은 14일 열린 디지털-X 서밋 2022에서 “맞춤형 서비스의 출발점으로 방역로봇을 출시했고, 방역로봇과 같

news.naver.com

 

 

 

 

3. 상하이 봉쇄로 중국 반도체·전자업체 생산 차질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상하이 봉쇄 여파로 중국 반도체, 전자 업체들이 생산 차질을 빚고 있다. GPU 반도체 업체인 비런테크놀로지는 최근 7 나노 공정의 범용 GPU 칩 자체 개발에 성공했으나 본사와 생산공장이 있는 상하이 민항구가 봉쇄되면서 본격적인 생산에 나서지 못하고 있고, 세계 2위 반도체 패키징 업체인 미국 앰코테크놀로지의 상하이 공장도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다. 상하이 파운드리 업체들은 기숙사를 운영하여 직원들의 외출을 통제한채 생산 차질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이런 폐쇄 관리도 물류난에 의해 곧 한계에 부딪힐 것으로 전망했다. 파운드리와 설비 업체들은 많은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잇는데 물류가 막히면 중국 전역의 반도체 공급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인해 상하이 일대 IT 업체들과, 맥북을 공급하는 업체의 조업 중단으로 애플까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의 봉쇄가 장기화하면 중국의 IT산업은 물론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상황이지만 중국 당국은 여전히 '다이내믹 제로 코로나'를 고수하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01&aid=0013113810 

 

상하이 봉쇄로 중국 반도체·전자업체 생산 차질

7나노 GPU 개발 비런테크놀로지 본격 생산 못 해 애플 협력업체들 잇따라 가동 중단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상하이 봉쇄 여파로 중국 반도체·전자 업체들이 생산

news.naver.com

 

반응형

'IT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스크랩] 2022.04.20  (0) 2022.04.20
[신문스크랩] 2022.04.18  (0) 2022.04.19
[신문스크랩] 2022.04.13  (0) 2022.04.13
[신문스크랩] 2022.04.11  (0) 2022.04.11
[신문스크랩] 2022.04.10  (0) 2022.04.1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