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일걸요..?

[신문스크랩] 2022.06.13 본문

IT 기사

[신문스크랩] 2022.06.13

Re_A 2022. 6. 14. 00:14
728x90
반응형

 

1. 500원 내고 OTT 하루만 보면 안 돼? ‘1일권 판매’ 논란

   하루 단위로 OTT 이용권을 판매하는 사이트 '페이센스'가 등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사이트는 주요 OTT 서비스의 한 달 이용권을 하루 단위로 판매한다. 문제는 OTT 회사들과 제휴를 맺지 않고, 임의로 이용권을 쪼개서 판매했다는 점이다. 12일 OTT 업계에 따르면 국내 OTT 3사는 이를 '불법 쪼개기'로 보고 서비스 11일만인 지난 10일, 페이센스에 영업 중단을 요구하는 내용 증명을 보냈다. 

   페이센스는 각 OTT에서 4인용 프리미엄 이용권을 구매한 후, 이 계정을 재판매/공유하는 방식으로 월 이용권 하나당 5만 5000원의 차익을 남겼다. 이에 관해 페이센스의 송홍석대표는  OTT 시장을 교란하려는 것이 아니다”라며 “페이센스가 합리적인 소비자들의 요구를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다만 누적 이용자 수나 약관 위반에 대한 입장 등은 밝히지 않았다. 실제 소비자들도 '기발하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OTT 업체들은 "명확한 약관 위반"이라는 입장이다. 이들은 약관에 ‘이용권의 타인 양도 및 영리 활동 금지’, ‘회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관리 책임’ 등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권 재판매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물론 비밀번호를 바꿔가며 같은 계정을 여럿에게 공유하는 것 자체가 민·형사상 책임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페이센스 측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법률을 위반하지 않았으니 불법이 아니다”라고 안내하고 있다.

   OTT 업계들은 실질적으로 페이센스에서 일단위 계정을 구매한 소비자를 제재하기 어렵다는 문제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물론 '단기 이용권' 도입은 OTT 업계의 오래된 고민이다. 그들은 소비자의 단건 결제 부담을 낮추는 대신 소비자가 일정 기간 구독을 지속할 것이란 전제로 창작에 투입할 비용을 계산하는데, 그 최소 단위가 월간~연간 단위 구독료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통해 OTT업계가 다양한 구독 서비스의 범람으로 비용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을 위한 요금제를 고민할 때가 됐다며, “실제 해외 B2B 회사들의 경우 쓴 만큼만 돈을 내는 단가제(per unit pricing)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루는 등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01782?sid=105 

 

500원 내고 OTT 하루만 보면 안 돼? ‘1일권 판매’ 논란

하루 단위로 온라인 동영상(OTT) 이용권을 판매하는 사이트가 등장해 콘텐트 업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달 31일 공개된 ‘페이센스’ 얘기다. 이 사이트는 주요 OTT 서비스의 한 달 이용권

n.news.naver.com

 

 

 

 

2. "해킹 공격 때문에" YTN 유튜브 계정 해지…2시간반 만에 복구

   13일, YTN 공식 유 튜브 채널이 해킹 공격으로 인해 가상화폐를 홍보하는 불건전 영상들이 노출되었고 그로인해, 계정이 해지 된지 2시간 반만에 복구되었다. 앞서 지난 12일 오전에도 해킹 공격으로 암호 화폐 홍보 영상이 일시적으로 노출된 바 있었다. 

    유튜브는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커뮤니티 가이드를 심각하게 또는 반복적으로 위반하는 영상을 업로드할 경우 채널 운영을 중단시킨다. 또 채널 1차 경고시 일주일간 콘텐츠 업로드, 실시간 방송등을 차단한다. 2차 경고를 받으면 2주간 콘텐츠 게시가 중단되며, 90일 이내에 경고를 3번 받으면 채널이 영구 삭제된다. 

   이번 YTN 계정 중단 사태와 관련해 유튜브 관계자는 "확인 중에 있다."라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155542?sid=105 

 

"해킹 공격 때문에" YTN 유튜브 계정 해지…2시간반 만에 복구

YTN의 공식 유튜브 채널이 계정 해지 후 약 2시간 반 만에 복구됐다. YTN 측에 따르면 해킹 공격이 원인이 된 것으로 파악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YTN 유튜브 채널은 뉴스 영상 업로드를 비롯해 채

n.news.naver.com

 

 

 

반응형

'IT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스크랩] 2022.07.15  (0) 2022.07.15
[신문스크랩] 2022.06.20  (0) 2022.06.21
[신문스크랩] 2022.06.10  (0) 2022.06.10
[신문스크랩] 2022.06.08  (0) 2022.06.08
[신문스크랩] 2022.06.06  (0) 2022.06.06
Comments